1. RDB와 벡터DB의 의미와 차이1.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 Relational Database)구조: 정형화된 테이블 기반의 데이터 저장소주요 특징:데이터를 행(Row)과 열(Column) 형태로 저장SQL을 이용한 질의(Query) 수행스키마(데이터 구조)를 미리 정의해야 함정합성(ACID, Atomicity, Consistency, Isolation, Durability) 보장사용 예시: MySQL, PostgreSQL, Oracle, MSSQL1.2 벡터 데이터베이스(Vector Database)구조: 비정형 데이터를 고차원 벡터로 변환하여 저장주요 특징:의미 기반 검색(Semantic Search) 가능거리 기반 유사도 검색(KNN, ANN, FAISS 등) 활용데이터 정형화 필요 없..
않이 AI API를 사용해서 파이썬 코드 짠걸 장고 프로젝트를 파서 옮겼더니 AI 답변이 가독성 똥망한 줄글로 반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써칭해본 결과 이런 방법을 쓰면 된다고 한다. linebreaks는 단락도 구분하고, linebreaksbr는 단순 줄바꿈만 하니까 필요에 맞춰서 선택 궈궈 linebreaks 필터:{{ ai_response|linebreaks }} linebreaksbr 필터:{{ ai_response|linebreaksbr }} safe 필터와 함께 사용 (HTML 태그가 포함된 경우):{{ ai_response|linebreaks|safe }}
포스트맨으로 테스트용 게시글 만들고, 거기에 댓글 다는데 계쏙 오류남. 400 Bad Request{"post": ["이 필드는 필수 항목입니다."]} 그래서 오류가 뭔지 찾아보니 요청에 필수 필드가 누락되었다고 한다. 처음에 아이디가 3인 게시글이 없나? 나의 환상이었나? 싶어서 어드민페이지에 갔더니 맙소사 내가 어드민 페이지에 아무것도 안해놔서 post 모델 연결이 안돼있었따! 그래서 연결하고 다시 갔더니 아이디 값이 안보임; 그래서 멍충바보는 몸이 고생한다더니 다시 post/admin.py에 부랴부랴 코드 넣고 다시가니까 마침내 보였다! from django.contrib import adminfrom .models import Postclass PostAdmin(admin.ModelAdmin)..
+99강화나무(정식명칭 ㄴㄴ)를 하게 된 목적: 아래와 같은 데이터가 있을 때 우리가 birth_year = 90인 행을 찾는다면? name birth_year 오리곽곽00정지92채채90현호우97욜히졸히97양주소주94심심혜93 컴퓨터는 모든 행을 탐색하면서 해당 값을 찾을거임.근데 만약에 행이 10만개라면? 아니면 1억개라면?분명 컴퓨터가 죽여달라고 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보통 인덱스를 생성한다.인덱스는 원본 데이터의 위치 정보(포인터)를 저장하고 이를 정렬하면 된다.이때 정렬은 보통 Array나 Linked List를 사용한다.이렇게 인덱스를 생성하게 되면 성능이 개선되긴 할 것이다. 그러나 원본값을 수정하면 인덱스도 수정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인덱스 수정이 왜 불편한지 궁금하면 펼쳐보셈더보기1..
ord() 함수는 파이썬의 내장 함수로 문자의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Unicode code point)를 반환한다.즉 특정 문자의 ASCII 값이나 유니코드 값을 숫자로 반환. ASCII 코드의 주요 범위 1. 대문자 알파벳 (A-Z)ord('A') = 65ord('Z') = 90 2. 소문자 알파벳 (a-z) ord('a') = 97ord('z') = 122 3. 숫자 (0-9) ord('0') = 48ord('9') = 57 4. 자주 사용되는 특수문자 예시 ord(' ') = 32 # 스페이스ord('!') = 33 # 느낌표ord('.') = 46 # 마침표ord(',') = 44 # 쉼표 5. 제어 문자 0-31: 제어 문자들 (예: 개행문자 '\n' = 10)127: DEL 파이..
장고강의를 시작했지만, 파이썬이 부족한 나는 계속해서 파이썬에 의문이 생긴다. 정적메서드가 클래스, 인스턴스로 모두 호출 가능한데 인스턴스 변수에 접근은 안된대.여기서 접근이 값을 읽거나 수정하는거고 호출이 실행시키는거라 설명을 들었는데 값을 보는 것과 함수 실행이 무슨 차이가 있어? 핵심 차이:호출(실행)은 단순히 코드 블록을 실행하는 것변수 접근은 객체의 상태를 읽거나 수정하는 것정적 메서드는 객체 상태와 무관한 독립적인 기능이므로, 인스턴스 변수 접근은 제한되지만 호출은 가능예시로 비유하면:메서드 호출: 계산기의 버튼을 누르는 것 (기능 실행)변수 접근: 계산기의 메모리 값을 보거나 수정하는 것 (상태 관리) 그렇다면 값을 보는 것과 기능 실행이 같은 결과를 가지고 올 수도 있겠네? 맞말이다~..